개념정리

브로드캐스트(BroadCast) / 유니캐스트(Unicast) / 애니캐스트(AnyCast) / 멀티캐스트(MultiCast) / IGMP 개념정리

Giraffe_J 2022. 3. 7. 12:42

★브로드캐스트 (BroadCast)

- 1:N(all) 통신 → 하나의 SRC IP 와 같은 무리(동일대역)에 있는 모든 Host들 간의 통신

- 브로드캐스트는 목적지 주소가 all로 표시되어 있는 통신 -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모든 호스트에 패킷을 전달해야할 때 사용

- 유니캐스트로 통신하기전 상대방의 위치를 알기위해 사용 후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유니캐스트 통신
  통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후 해당 정보는 폐기됨 - UDP 지원

- ex) 건물방송 → 지하 주차장에 차주를 찾을때 건물방송으로 모두에게 알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차주는 해당 방송을 듣고 차를 옮기러 감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차주를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은 방송내용을 무시(폐기)

 

★유니캐스트 (Unicast)

- 1:1통신 → SRC IP 와 DST IP 간 1:1 통신 - 출발지와 목적지가 명확하게 하나로 정해져 있는 1:1 통신

- 대부분의 통신은 유니캐스트

- TCP / UDP 지원

- ex) 지하 주차장에 차를 옮겨야 하는데 해당 차주의 정보를 알고있다면, 바로 연락을 취함(1:1)

 

★애니캐스트 (AnyCast)

- 송신노드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신 가능한 노드중에서 한 노드에만 데이터를 전송한다.

- 1:가장 가까운 1 통신

- 패킷을 받은  수신자는 그룹내의 호스트들을 위한 라우터 테이블을 현행화하고 가장 가까운 호스트로 선택되면 유니캐스트 처럼 패킷을 전송받아 그 그룹 내의 다른 호스트와 애니캐스트 통신을 함

 

★멀티캐스트 (MultiCast)

- 1:N(특정한 그룹) 통신 → SRC IP 와 DST IP 간 1:N(특정) 통신

-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를 이용해 해당 그룹에 속한 다수의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

- UDP 지원

- ex) IPTV  

 

★IGMP (Interbet Group Management Protocol) - 멀티캐스트 실시간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

▽IGMP Join - 가입자가 1번 채널을 시청하고자 할때 1번에 해당하는 IGMP 채널 정보를 찾아 Join 메세지를 보냄 - 스트림 서버에세 해당 가입자에게 1번 채널에 해당하는 정보를 멀티캐스트를 이용해 전달

▽IGMP Leave - 가입자가 채널 1번에서 2번으로 채널변경시 1번 채널에 대해 Leave 메세지를 던짐 - 그 후 2번 채널에 대해 다시 Join 실시

▽IGMP Host Membership query - 라우터가 가입자에게 보내는 메세지(monitoring). 가입자가 방송을 제대로 시청하고 있는 확인하는 용도 - 가입자가 leave 메세지를 보내지 않고 셋톱박스를 off 하는 경우 응답을 주지 않으므로 해당 가입자를 leave 처리 - 만일 이 기능이 없다면 off 사실을 모르고 의미없는 트래픽이 흐르게 되고 이런 트래픽이 쌓여 과부하 발생

▽IGMP Host Membership report - 라우터에게서 Query를 받은 가입자가 자신은 방송을 잘 보고 있다는 메세지

▽IGMP Proxy - Join 메세지를 받고 서버에서 방송을 보내줄때 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 - 이때 가입자가 계속 채널을 변경할 시 화면 전환에 딜레이가 생김 - 이러한 문제로 IGMP Proxy를 전진배치 시키고 미디어 서버에서 보내는 방송 정보를 IGMP Proxy로 전달하게 셋팅 - 가입자에게는 자신이 방송 서버인것 처럼 동작하여 Join leave를 처리함 - 유로방송에 대한 인증절차도 처리